사망률은 낮지만 재발률이 높은 갑상선암의 원인·예방, 증상·진단, 치료·부작용 나무에 이물감이 느껴진다면 갑상선암일까?사망률은 낮지만 재발 위험이 커 평생 관리해야 할 암이 갑상선암이다.
초음파로 확인한 갑상선과 종양
갑상선은 목 앞으로 돌출되어 있는 갑상선 연골의 2~3㎝ 아래에 위치한 나비형 장기로 왼쪽 잎과 오른쪽 잎, 그리고 둘 사이를 연결하는 협부로 이루어져 있다. 한 잎의 길이는 4~5㎝, 너비 1~2㎝, 두께 2~3㎝이며 전체 무게는 15~20g이다. 갑상선에 혹이 생긴 것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하며, 전체 갑상선 결절의 5~10%는 갑상선암으로 진단된다. 갑상선암은 양성결절과 달리 일반적으로 크기가 커져 주변 조직을 침범하거나 림프절 전이, 원격 전이를 일으킬 수 있다. 원인 및 예방
갑상선암의 대표적인 위험요인으로는 목 주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이며 방사선 누출 사고에 의해서도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 또 방사선에 노출된 연령이 어릴수록 위험도가 증가한다. 일부 갑상선암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최근 보고에 따르면 비만도 갑상선암 발생을 증가시킨다고 한다. 갑상선암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 그럼에도 전산화단층촬영(CT)과 같은 방사선에 목 부위가 과도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고, 특히 소아기에 머리와 목 부위가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권고된다. 갑상선 수질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가계 구성원을 대상으로 RET 원종양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증상과 진단
갑상선암의 대부분은 증상이 없다. 그러나 암이 진행될 경우에는 목에 덩어리가 닿을 수 있고 종양이 성대신경을 침범해 목소리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종양이 커짐에 따라 삼키기 어렵거나 숨이 차는 증상이 생길 수 있다. 갑상선암 진단을 받은 사람 중 피로나 무기력, 목에 이물감이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갑상선암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갑상선암 진단을 위해서는 초음파를 통해 갑상선 결절의 형태와 크기를 평가하고 미세침 흡인세포 검사 또는 중심부 침생검을 실시해 세포 악성 여부를 판단한다.최근에는 BRAF 돌연변이 등 유전자 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나타난 갑상선암
전산화단층촬영(CT), 초음파 검사 등 영상검사로 림프절 전이, 주위 조직 침윤을 평가할 수 있으며 갑상선 기능검사 및 갑상선 스캔검사는 기능성 종양을 감별하는 데 이용된다. 치료 및 부작용갑상선암의 가장 기본이 되는 치료는 수술로 갑상선암의 종류, 크기, 결절 숫자, 주변 조직의 침윤, 림프절 전이 여부에 따라 갑상선 전절제 또는 잎절제를 하고 림프절절제를 할 수 있다. 갑상선호르몬은 영양분을 분해해 에너지를 낼 수 있도록 돕고 총대사량을 증가시켜 체온을 높여 뇌 흥분성을 강화시키지만 갑상선을 모두 제거하면 갑상선호르몬이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평생 갑상선호르몬제를 복용해야 한다. 절제를 했을 경우에도 호르몬제 복용이 필요할 수 있다.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할 수 있다. 방사선요오드 치료는 갑상선 세포에 선택적으로 흡수되는 방사선요오드를 이용해 수술 후 남은 갑상선 조직 및 암세포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으로 재발을 억제하기 위해 외부 방사선 조사 치료를 할 수 있다.갑상선 스캔 원리방사성 요오드 치료의 경우 치료 준비를 할 때 3~4주간 갑상선 호르몬을 복용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일시적인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있으며 목 붓기, 미각 변화, 침샘염, 침분비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진행성 또는 전이성 갑상선암은 경구 항암제를 사용해 암 진행을 억제하는 치료를 할 수 있다.갑상선암은 예후가 좋고 갑상선암으로 인한 사망은 매우 드물지만 상대적으로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계속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사진=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