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히스토리 4: 태양계의 멤버-태양계를 구성하는 것은 무엇일까?

네 번째 대전환점이자 우주의 진화가 시작된 46억 년 전, 태양계의 생성! 생명이 진화하듯 태양계의 구성원도 진화한다!

인류는 지적 생명체를 찾아 태양계를 탐사했다. 인류는 우주에 끊임없이 의문을 던졌고 우주 어딘가에 또 다른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믿고 우주로 탐사선을 발사했다. 과학이 발전하고 기술이 진보하면서 탐사선을 지속적으로 발사했지만 인류와 소통이 가능한 지적 생명체를 발견하지는 못했다. 덕분에 인류는 태양계 곳곳에 흩어져 있던 천체의 베일을 벗기면서 행성의 특성에 따라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했다. 또 각각의 행성이 태양을 중심으로 어떻게 생성되고 진화해 나갔는지를 밝혀낼 수 있었다.

네 번째 대전환점인 태양계의 생성, “태양계를 구성하는 것은 무엇일까?편은 태양계는 어떻게 생성되고 태양계를 구성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시작으로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8개의 행성, 그리고 또 다른 구성원인 소행성과 혜성, 왜소행성과 카이퍼벨트, 오르트 구름까지 태양계 구성원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은퇴한 천문학자들의 시선으로 흥미진진하게 들려준다.

금성도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이 아니었을까.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적당한 온도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도 적정한 수준이었을 것이다. 태양이 방출하는 에너지가 커져 금성 대기의 온도가 조금씩 상승하고 대기 중에 증가한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는 온실효과를 일으킨다. 온실효과가 증폭되면서 행성 표면이 뜨거운 평형 상태를 이루게 돼 다시는 그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온난화된 금성의 변화 과정을 유추함으로써 인류가 살고 있는 지구의 진화 과정을 내다볼 수 있다. 이런 차원에서 태양계 구성원을 통해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견해를 경험할 수 있다.

조민 코너에서는 본문에서 제대로 다루지 못한 배경 지식과 추가 정보를 각 장마다 배치했다. 행성의 지위를 잃은 명왕성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더 자세히 다루고 천체의 이름에 담긴 규칙을 풀어줌으로써 인문학적 정보를 담았다. 지구에서 가장 먼 우주에 도달한 탐사선과 제2의 지구 탐사에 관한 흥미로운 정보도 소개하고 있다. 또 본문 이해를 돕기 위한 일러스트와 인포그래픽을 풍부하게 실어 태양계 구성원들을 사진으로 볼 수 있다. 이번에 출간할 태양계를 구성하는 것은 무엇일까.편이 46억 년 전 ‘태양계의 생성’에 대한 지적인 탐험을 돕고 지구에 살고 있는 지적 생명체인 인류도 태양계의 구성원이자 우주의 일부라는 사실을 실감하게 될 것이다.저자 소개 저자 : 김효진 수원에서 태어나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울산에서 보냈다. 수학과 과학이 재미있었던 이유로 서강대학교 수학과에 진학, 컴퓨터공학을 복수전공하였다. 물리, 화학, 천문학에 관심이 많았던 곳에 빅 히스토리에 관심을 갖게 되어 집필에 참여하게 되었다. 현재 MBTI 추세 분석을 통해 청소년과 대학생을 위한 진로 코칭 중이다.

저자 : 노효진 서울에서 태어났다. 원래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공대생이었지만 서울예술대학교 극작과에 진학해 극작가로서의 길을 걸었다. 드라마 산부인과 골든타임 등 의학드라마 작가팀과 교양과학 다큐멘터리 작가로 활동했다. 유년 시절부터 갖고 있던 특유의 지적 호기심으로 우주에 대한 관심이 많아 천문학자를 주인공으로 한 방송을 준비하던 중 빅 히스토리 집필진으로 합류하게 됐다.

그림 : 송동근대구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만화가를 꿈꿨습니다. 1997년 우여곡절 끝에 서울에서 만화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2012년 부천국제만화제에서 피터 히스토리아라는 작품으로 만화대상을 수상했습니다. 지금은 부천에서 한가로운 만화가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 작품으로는 경제만화 펠릭스는 돈을 사랑해 어린이를 위한 경제의 역사 피터 히스토리아 등이 있으며 빅 히스토리 시리즈 중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태양계를 구성하는 것은 무엇일까.「인류는 왜 증감하는가?」의 일러스트를 작업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