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동결어깨(오십견)의 원인과 검사

어깨동결어깨(오십견)의 원인과 검사

어깨동결어깨(오십견)는 어깨관절의 만성통증과 운동제한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항상 조심해야 합니다.흔히 50세 이후의 나이에 나타나므로 오십견이라고 명명하지만 40대 이전이나 60대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어깨동결견의 경우 특별한 외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어깨관절 부위에 통증이 시작되면서 점차 증상이 심해지고 관절운동 제한이 나타날 수 있어 초기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 50대에서 호발하는 경향이 있는데 심한 통증, 야간통, 운동제한이 주된 증상이며 누워 있는 자세에서 통증이나 불쾌감이 심해지고 야간통증으로 인해 수면장애가 발생할 수 있어 초기부터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하며 이를 잘하는 곳과 함께 해야 합니다.

오십견은 어깨 통증을 주 증상으로 하여 회전근건판 질환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오십견의 경우 여러 각도에서 수동적 운동을 할 때 심한 통증이 느껴지지만 회전근판탈출증은 별도의 운동을 할 때만 아픈 증상을 느끼며 특히 동결견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방치하지 않도록 작은 증상이라도 심각하게 받아들여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동결견의 증상 발현 기간 및 양상에 따라 3기로 나뉘는데, 1기는 통증기로 첫 증상부터 약 3개월까지 지속되며 점차 아픈 증상이 증가하여 스스로 어깨를 움직이는 능동적 관절운동의 제한이 생기고, 또 움직이지 않을 때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초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즉시 검사를 받아 적절한 방법으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2기는 동결기로 3개월에서 12개월까지로 이 기간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을 때 증상은 완화되지만 만성통증과 수동적 관절운동 범위가 제한되고 이후 3기는 아픈 증상은 매우 경미해지지만 관절운동을 할 때 증상이 나타나 생활에 불편을 줄 수 있어 아픈 증상이 없어진 것 같아도 적절한 방법으로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MRI 오십견 검사를 통해 동경결 몇기에 해당하는지, 증상과 발현 시기, 특별한 발병 원인이 있는지를 확인한 후 적절한 치유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염증 유착 정도, 관절낭 상태 등 다양한 사항을 확인한 후 개개인의 증상, 병력 등에 따른 맞춤 치유법을 체계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증상 초기이며 통증이 부족할 경우 증상을 조절하고 운동 범위를 넓히는 근력강화운동을 통해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심한 상황이거나 보존적인 방법을 진행해도 호전되지 않으면 관절내시경 수술을 실시해야 하는데, 저희 강남본 성형외과에서는 부분마취 후 최소한의 절개를 하고 내시경을 삽입하고 영상으로 병변 부위를 관찰하면서 관절낭 절개술과 활액막 절제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내시경을 보면서 상태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고 다른 질환이 확인된 경우 동시에 치유가 가능하다는 점이 좋습니다.무엇보다 시간이 짧고 출혈이나 감염 등 문제가 적기 때문에 기저질환이 있는 분이나 고령자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오십견 등의 어깨 질환, 검사로 적절한 처치를 하면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아픈 증상이 있으면 참지 말고 검사를 받아 보십시오.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275

어깨의 응고.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