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리워커 도전기=2021년 12월 수익인증=12월은 퇴사한 지 두 번째 달이자 21년 마지막 한 달이었지만 벌써 12월이 지나고 4일이나 지났다. 왜 이렇게 시간이 빨리 가요? 11월 수익인증 때도 여러 번 말했지만 진짜 정신 차려야 돼. 그럼 자세한 이야기는 12월의 브렛 저널 기록을 보기로 하고 당장 시작해 보자. 올 12월 블로그와 온라인 강의로 얼마를 벌었을까.네이버애드포스트수익인증(12월)구분 네이버애드포스트수익증감률 2021년12월 20,043▲28% 2021년11월15,606▼27%
10월에는 네이버 리빙홈에 글이 올라오고 방문자도 수익도 조금 올라간 뒤 11월에는 티스토리를 위해 네이버 블로그를 소홀히 하면서 15,606원으로 수익이 27%가량 떨어졌다. 신기한 것은 1일 1포스팅을 티스토리로 옮겨 당연히 네이버 블로그 방문자 수는 떨어졌지만 수익은 예상보다 많이 줄지 않았다는 점이다.

올해 12월 네이버 어드포스트 수익은 20,043원(약 20,043원)로 11월보다 28% 늘었다. 늘어난 수익만큼 블로그 방문자 수도 늘었다. 11월에는 월간 방문자 수가 22,064명이었으나 12월에는 30,248명으로 네이버 리빙홈에 포스팅이 올려진 10월보다 방문자 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보다 어드포스트 수익은 1,000원 정도 낮지만)


하지만 이전에도 말했듯이 방문자 수와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의 상관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당연히 방문자 수가 늘어나면 광고를 클릭할 수 있는 확률도 높아지고 그러면 수익도 늘어날 수 있지만 방문자 수가 전월 또는 전날보다 많아졌다고 해서 네이버 애드포스트의 광고 수익도 오를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는 얘기다.
지난해 12월 블로그 방문자 수가 늘어난 요인 중 가장 큰 것은 브렛저널 관련 포스팅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어쩌다 보니 브렛 저널을 쓰게 되어서 그 내용을 매달 정리해서 블로그에 올리고 있는데 이게 생각보다 반응이 좋은 것 같네. 아직 사용하는 포맷이 한정돼 있으니 다음 달에는 좀 더 다양한 양식을 사용해 보고 내친김에 콘텐츠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자.잉클 온라인강의 수익인증(12월) 구분 온라인강의 수익증감률 2021년 12월 5,030▲72% 2021년 11월 2,931▼88%

잉클에서 제작한 온라인 강의 수익은 5,030원을 기록했다. 10월 강의가 문을 연 뒤 10,000원 이상의 수익을 올린 달은 오픈 첫 달을 제외하고 0으로 수렴 중이다.온라인 강의 수익만으로는 한 달에 치킨 한 마리도 못 먹지만 핫도그 두 개는 사 먹을 수 있어 다행이다. 과자값 정도 벌지 않을 줄 알았어.
인클은 40.50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강의 클래스 플랫폼으로, 돈, 건강, 행복에 관한 클래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incle.co.kr 티스토리 카카오 어드핏 수익 인증 (12월) 구분 티스토리 카카오 어드핏 수익 증감률 2021년 12월 117▼68% 2021년 11월 363
티스토리의 카카오 어드핏 수익은 117원으로 68%나 하락했다. 왜냐하면 이 녀석이 어드센스 수익에 점점 영향을 미치는 것 같아서 12월초에 광고 설정에 들어갔다가 광고 OFF로 바꿨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제로 영향이 있었는지 카카오 애드핏 수익을 OFF하고 나서 애드센스 수익이 조금씩 오르고 있는 중이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들 중에는 카카오 애드핏과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함께 사용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다익선이라고 생각하는 건지, 아니면 실제로 카카오 어드핏으로도 수익이 크게 벌어져 있는 건지 모르겠지만, 내 경우는 어차피 네이버나 카카오나 단가가 너무 낮아 아깝다는 생각도 없었기 때문에 가차 없이 광고를 끄기로 했다. 10,000원 이상 모여야 출금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빨리 결정한 것이 신의 한수였던 것 같다. (카카오 그것은 네가 가져가) 티스토리 구글 어드센스 수익인증 (12월) 구분 티스토리 어드센스 수익증감률 2021년 12월 9.98▲425% 2021년 11월 1.9
아직 애드센스가 큰 액수는 아니지만 그래도 올 11월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일의 방문자 수도 조금씩 증가하고 있기 때문일까? 아직 목표치에 훨씬 못 미치는 금액과 방문객 수를 기록하고 있지만 조만간 대박을 터뜨릴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콘텐츠 개발을 열심히 해서 하루하루 1포스팅을 꾸준히 하면 뭔가 의미 있는 변화가 생길 것이다.

12월에는 티스토리 블로그에 총 38건의 포스팅을 올렸다. 40개 정도 포스팅을 올리고 싶었지만 그래도 목표에 가까운 포스팅을 올릴 수 있어 나름대로 만족한다. 하지만 12월 말 티스토리 블로그가 품질이 떨어지면서 조금만 마음고생을 했다. 아무래도 코로나 사회적 거리를 두는 것에 관한 포스팅을 올린 것이 저품질 기준에 걸렸던 것 같다. 상업 블로그가 많아져서 이슈 포스팅을 자주하면 저품질로 분류한다던데? (어쨌든 이 대기업이 문제인가봐)
구글 애드센스의 수익을 정리하는데 있어서 생각할 생각이지만, 네이버 블로그와 비교하면 거의 1/5 가까이의 방문자가 들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익은 반 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 애드포스트와 애드센스간의 광고 단가의 차이를 여실히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네이버 어드포스트도 월 방문자 수가 40만 정도 되면 많게는 50만원까지도 충분히 벌 수 있을 것 같은데.

이렇게 해서 2021년의 마지막 달이었던 12월 사외수익 총액은 37,155원이다. TESTORY 구글 어드센스 금액은 포스팅 작성 당일의 기준 환율을 적용하여 원화로 계산하였다. 이전 10, 11월과 비교해 가장 큰 차이는 구글 어드센스의 수익이 눈에 띄게 늘었다는 점이다. 티스토리뿐 아니라 네이버 블로그에도 블로그 성격에 맞는 글을 최대한 많이 올릴 예정이니, 조언도 많이 컸으면 좋겠다. 2022년 임인년 화이트 인 (달려라 호랑이)

모든 게시물과 자료, 이미지는 무단 도용 및 블펌, 2차 수정은 불가합니다.
© 티야기 Teayagi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