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분자가 수분분해 단백질 팩트 체크!

최근 갑자기 ‘저분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단백질 분말에 대해서도 ‘저분자인가?’라는 의문과 질문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저분자 단백질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일까요? 네~ 있습니다. 가수분해단백질 영어로 WheyProtein Hydrolyste 줄여서 WPH라고 불리는 단백질이 저분자 가수분해단백질입니다. 그렇다면 WPH라고 불리는 저분자 가수분해 단백질은 최근 추세에 맞춰 최근에 새로 출시된 것일까요? 아니요^^WPH라고 불리는 가수분해 단백질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우유에서 생산되고 있는 단백질 원료입니다. 그런데 최근 누구나 ‘저분자~저분자~’를 외치다 보니 아직 정확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수십 년 전 출시된 가수 분해 단백질에 대해 의문이 생기게 된 겁니다.

일단 가수분해라는 게 뭘까요?

생물을 이루는 여러 유기 화합물은 여러 단위체가 반복적으로 공유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폴리머입니다.가수분해(hydrolysis)란 이러한 거대분자를 물분자를 이용하여 분해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첨가된 물분자의 수소(-H)와 수산기(-OH)는 각각 중합체를 형성하고 있는 인접한 두 단위체와 결합을 이루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단위체는 기존의 결합을 잘라 물분자와 결합을 이루면서 중합체의 분리가 일어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생명체 내에서는 이러한 분해 프로세스의 촉매로 여러 가수분해 효소를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대표적인 가수분해 반응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가수분해반응은 생명과학뿐만 아니라 화학에서도 가장 중요한 물질순환 과정으로 우리 주변에서도 다양한 가수분해 과정을 발견할 수 있는데 금속소금의 물에서의 융해, 지방분해나 전분분해와 같은 체내에서의 고분자 물질분해 과정, ATP 분해를 통한 에너지 획득 등이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그럼 ATP 가수분해란 무엇일까요?

세포는 ATP(adenosinetriphosphate)를 이용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화학적 에너지를 획득합니다. ADP에 무기인산을 결합시켜 형성되는 ATP에서 에너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ATP를 다시 한번 ADP와 무기인산으로 분해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세포는 대량의 에너지를 획득하게 되며, 이러한 방출 자유 에너지는 흡열반응, 막간 능동수송, 물질의 이동 등에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이러한 ADP와 ATP 간의 생성과 분해에 의한 에너지 연계 회로를 형성하여 에너지의 방출과 저장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정말 저분자 가수분해 단백질(WPH)은 정말 우수한 단백질일까요?아니면 그냥 엉뚱한 소문일까요?지금부터 팩트를 근거로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팩트 체크는 무엇일까요?

위 사진은 Hilmar사의 유단백질 원료에 대한 검사 결과입니다. 먼저 분리유청단백질(WPI)입니다. 위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분리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Isolate)의 단백질 함량은 92%, 불순물인 유당(Lactose)은 1% 지방(Fat)은 1.5%이고 콜레스테롤 함량은 5mg/100g으로 매우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두 번째 팩트체크가 뭘까요?

다음은~ 가장 접하기 쉬운 단백질은 WPC라는 농축유청 단백질(Whey Protein Concentrate)은 단백질 함량 82.5% 불순물인 유당(Lactose)이 5.2%, 지방은 6% 정도입니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215mg/100g 수준입니다.

세 번째 팩트 체크는 무엇일까요?

마지막으로 저분자 단백질이라 불리는 WPH라고 불리는 가수분해 단백질(Whey Protein Hydrolysate)의 성분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백질 함량 81%, 불순물인 유당(Lactose)은 3%, 지방은 6% 정도입니다. 그리고 콜레스테롤 함량은 220mg/100g으로 3가지 단백질 중에서 콜레스테롤 함량은 가장 높은데 이렇게 분리유청단백질(WPI), 농축유청단백질(WPC), 저분자인 가수분해단백질의 세부 스펙을 살펴본 결과 분리유청단백질인 WPI단백질의 스펙만 눈에 띄게 좋을 뿐 그 밖의 농축유청단백질(WPC)과 가수분해단백질(WPH) 두 가지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비슷한 스펙의 단백질이라고 생각하시면 정확합니다. 즉 저분자 가수분해 단백질이 성분상의 스펙을 살펴보면 특별히 다른 단백질에 비해서 좋거나 우수한 부분은 전혀 없습니다. 다만 아무래도 저분자로 가수분해가 됐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소화력에 문제가 없는 분들은 모르겠지만 소화력이 극히 나쁜 분들은 일반 단백질보다는 조금 소화가 잘 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정도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저분자로 만들어진 가수분해 단백질이 눈에 띄는 건 없다던데요~

그럼 돌출된 가수분해 단백질이 사용된 단백질 보충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가수분해 단백질이 사용된 단백질 보충제는 G-Way 올스타웨이 제품이 있습니다. 올스타웨이 단백질 보충제는 쿠키맛과 초코맛이 있는데요.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능성 원료 인증을 받은 유청단백질(WPC), WPH를 사용하여 만든 가성비 좋은 건강기능식품입니다.

그럼 건강기능식품이란 무엇일까요?

‘건강기능식품’은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 또는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이하 기능성 원료)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으로 건강을 유지하는데 좋은 식품입니다. 식약처는 동물시험, 인체적용시험 등 과학적 근거를 평가해 기능성 원료를 인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원료를 가지고 만든 제품이 ‘건강기능식품’입니다.

지금까지 저분자 가수분해 단백질의 팩트 체크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팩트체크에 대해 알려드리며 가수분해 단백질이 사용된 건강기능식품인 단백질 보충제인 올스타웨이 제품을 알려드렸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