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가 고대 의대 생리학교실 김양인 교수팀 기전규명 임신여성 짜게 먹으면 태아고혈압 위험성

김양인 고려대 의대생 이학교실 교수팀이 임신수유 중 염분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태어날 아이가 성인이 됐을 경우 고혈압 발병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김교수 고혈압-염분 과다섭취 경계심 일깨워라

임신 중 염분을 많이 섭취하면 태어난 아이가 고혈압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양인 고려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팀이 임신수유 중 염분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태어날 아이가 성인이 될 경우 고혈압 발병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염분 섭취는 혈압을 올리는 효과가 있지만 혈압 상승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염분 민감성이 있는 사람은 민감성이 없는 사람에 비해 염분 섭취로 인한 혈압 증가폭이 훨씬 크다.

장기적으로 염분을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고혈압 발생 여부는 염분 민감성 존재 여부에 큰 영향을 받는다.

염분 민감성은 유전되는 형질일 수 있지만 생활습관과 같은 요인에 의해 후천적으로 획득되기도 한다.

이에 연구팀은 임신·수유 중 염분의 과잉 섭취가 태어나는 아기에게 염분 민감성을 유발시킴으로써 이 아기가 성인이 됐을 때 염분-의존성 고혈압 발생에 기여하는지, 나아가 염분 민감성 및 염분-의존성 고혈압 발생의 기저 메커니즘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어미 생쥐가 임신수유 중 염분을 과도하게 섭취시키면 태어나는 생쥐가 염분 민감성을 갖게 되고 성체가 됐을 때 염분-의존성 고혈압 발병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과도한 염분 섭취로 인해 어미 쥐에서 분비가 증가하는 바소프레신이라는 신경호르몬이 쥐에게 염분 민감성을 갖게 하는 결정적인 인자인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임신 또는 수유 중 먹는 잘못된 식습관이 앞으로 아이에게 고혈압 소인, 즉 염분 민감성을 가져옴으로써 염분 의존성 고혈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며 “또한 태아 또는 유아기에 바소프레신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염분 민감성이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고혈압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줌으로써 고혈압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제1저자인 김영범 연구교수는 “이번 연구보고는 현재 한국인의 하루 평균 염분 섭취량이 WHO(세계보건기구) 권고량의 2.4배인 4,878mg으로 세계 1위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매우 중요하고 시기적절한 것”이라며 “이번 보고가 거의 모든 심혈관 질환의 기저에 서고 위험한 질환인 고혈압과 과도한 감상을 불러일으키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연구지원사업 및 창의도전 연구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국제학술지인 ‘분자 및 세포심장학저널(Journal of Molecular and Cardiology)’ 2020년 10월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임신여성 짜게 먹으면 태아고혈압 위험 증가 / 환자를 가장 먼저 생각하는 건강전문지 hnews.kr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