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BM_Edu 다이어트 영양학 송류리 강사입니다
오늘은 다이어트에 관한 곱창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다이어트 우리는 운동과 식사만 열심히 하면 다이어트(감량)인 줄 아세요?네, 맞아요! 운동과 식단이 기본이 되어야 건강한 몸을 만들 수 있어요~ 하지만 가끔 아주 가끔! 운동도 식사도 완벽하게 해냈는데 뜻밖에 살이 빠지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또 다른 내 모습(식욕을 억제하지 못하거나 마법에 걸린 날, 그리고 스트레스 폭발과 권태로움에 쫀득쫀득한 브라우니에 손을 뻗는다) 때문에 다이어트에 실패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그것은 ‘나’가 아니라 내 안의 ‘호르몬’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자,내가의지가약해서브라우니에손을뻗는것이아니라우리의몸이이것을필요로하기때문입니다.
그래서 더 이상 호르몬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 어떤 호르몬이 뇌를 제어하고 있는가 하는 대처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이어트와 호르몬> (1) 대사조절호르몬: 갑상선호르몬(2) 식사조절호르몬: 렙틴과 그렐린(3) 혈당조절호르몬: 인슐린과 글루카곤(4) 스트레스조절호르몬: 코르티솔과 세로토닌(5) 여성호르몬과 남성호르몬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사조절호르몬인 갑상선호르몬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리 몸의 항상성 작용을 위해 존재하는 호르몬, 오늘의 주인공 ‘갑상선 호르몬’은 우리 몸에서 어떤 것을 조절하고 있을까요?그것은 생체의 발육을 촉진하고 신진 대사를 제어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특히 갑상선 호르몬은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고 있으며, 만약 운동과 식단 조절을 철저히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쉽게 증가하거나 식욕이 왕성하여 과식해도 체중이 감소하고 있다면 갑상선 호르몬의 기능 이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의 대표적 기능> 1. 세포 내 이화작용(고분자→저분자) 2. 대사량 증가: 체온 조절 3. 단백질 합성: 모발의 풍부함, 태아의 신경 발달 4. 에너지 대사: 탄수화물 대사(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에너지로 사용), 지방 대사(중성 지방을 지방산으로 분해하여 에너지로 사용), 갑상선(Thyroid(갑상지방을 지방산으로 분해하여 에너지로닌)은 영어로 Thyroid(groid(글로우신)).칼슘대사와 관련된 호르몬이기 때문에 저희는 이름도 어려운 T3(트리요오드티로닌)과 T4(티록신)호르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
갑상선 호르몬의 주원료는 아미노산인 티로신(또는 타이로신, Thyrosine)과 무기질인 요오드(또는 요오드, iodine)입니다.(여기서 약간! 이름이 너무 비슷해서 분간 못하시죠? 아미노산인 티로신에는 s가, 호르몬에는 x가 철자에 들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_<)

갑상선은 Thyroid, 갑상선 호르몬의 이름은 T3(Triio dothyrine), T4(thyroxine), 갑상선 호르몬을 만드는 아미노산은 Thyrosine의 대부분의 갑상선 호르몬은 T4 형태로 존재하며 표적 세포로 이동함으로써 탈요오드효소(Deiodinase)에 의해 T3로 전환되어 활성화됩니다.이러한 갑상선 호르몬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기도 하며 다른 질병의 증상과 유사하게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래에 제시된 다양한 증상을 자세히 살펴 갑상선 기능 이상을 의심하여 검사해야 합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원인:갑상선자체의 문제 또는 ‘갑상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TRH)’및 ‘갑상선자극호르몬(TSH)’분비문제 또는 요오드결핍, 크레틴병(신생아의 선천적인 갑상선기능저하증)·증상:대사기능저하 1.체중증가:식욕은 없지만 체중저하:식욕, 체중저하:냉감, 추위에 강한 의욕상실
<갑상선기능항진증>·원인:바세도우병, 갑상선호르몬제과다복용·증상:대사기능과활성 1.체중감소:식욕왕성 2.발한 3.빈혈, 두근거림 4. 개구리의 눈·치료:항갑상선제복용, 갑상선호르몬의 재료는 요오드(I)탈요오드효소의 재료는 셀레늄(Se)용융성이기 때문에 그렇다.갑상선 호르몬과 효소를 위한 요소 관리가 중요합니다.
<요오드 섭취량> 해조류를 많이 섭취하는 한국인의 식문화 특성상 요오드 결핍은 거의 나타나지 않으나 요오드가 부족하면 갑상선기능저하증이나 인지기능장애가 나타날 수 있고 과잉하면 갑상선염, 갑상선종, 갑상선기능항진증 및 저하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따라서, 적어도 많지도 않은 적당량을 섭취하는 것이 요구됩니다.

권장섭취량-어른150마이크로그램,임산부240㎍,수유부340㎍,상한섭취량:2400㎍,급원식품:다시마,미역,김 등의 해조류,고등어,돼지고기,달걀,요구르트 등

<셀레늄 섭취량> 강한 항산화작용과 갑상선 호르몬 대사와 관련된 셀레늄 역시 결핍증과 과잉증을 주의하여 섭취해야 합니다.

권장섭취량 – 성인 50㎍/상한섭취량 : 400㎍/급원식품 : 동물내장, 육류, 생선, 곡류, 계란, 밀, 마늘, 브로콜리

지금까지 체중이 이유 없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갑상선 호르몬의 기능 이상과 최적의 갑상선 호르몬 대사를 위한 요오드와 셀레늄 섭취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결핍증과 과다증에 대한 치료가 영양관리로는 미흡하지만 꾸준한 운동과 균형잡힌 식사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세요.그럼 다음 포스팅 때 ‘식사조절 호르몬: 랩틴과 그렐린’ 주제로 만나보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