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이 바꾸는 미래교통 인프라에 손 안 대고 운전?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급격한 발전으로 자율주행차의 상용화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도로의 안전, 교통운영의 효율성 등을 고려한 주행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가운데 이와 관련된 각 산업플레이어들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신규 시장 진출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건설업이 주목해야 할 미래의 교통 인프라에 대해 조사합니다.

자율주행기술의 비약적인 ICT 발전과 자동차 이용자의 운전 편리성 향상, 운전자의 고령화(2018년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자는 738만 1천명→2030년 1,295만 5천명 전망)에 따른 교통사고 위험 증대 등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상용화되면 도로의 교통 안전 확보는 물론 교통 수요를 예측하고 효율적으로 교통 운영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것입니다.

자동 운전 기술의 고도화에 수반해, 통신 시설, 정밀 지도, 교통 관제, 도로등의 교통 인프라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 중 도로, 철도, 공항 등은 지능형 SOC로 건설, 개량되어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 유지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자율주행인프라 산업은 단일 산업군에 속하지 않는 융합적인 산업으로서 미래 자율주행산업을 차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협력과 경쟁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카피션(Coopetition) 현상을 예상합니다.

시공 위주의 사업 구조로 고부가가치 영역 진출에 한계를 느낀 건설사들은 통신업계와 M&A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자율주행 시대를 대응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간선도로, 고속도로 등 경제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도로시설과 시스템, 즉 도로 인프라 투자가 확대될 전망이어서 건설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삼정 KPMG_자율주행이 만드는 새로운 변화

자율주행 도로 인프라 도입으로 인한 차량 흐름 변화

2016년 6월 국토교통부는 기존 첨단도로안전과 인력을 이동해 디지털도로팀을 신설했습니다. 디지털 도로 팀은 주행 중인 차량과 통신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정책을 총괄하고 교통 시스템 운영을 효율화, 자동화하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입니다.2022년까지 주요 고속도로 및 국도구간 자율주행 필수 정밀도로 지도와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구축을 완료하고, 2027년에는 전국 주요 도로 완전 자율주행(레벨 4)의 세계 최초 상용화를 달성할 계획입니다.

K-City 조감도

건물면, 신호교차로, 버스전용차로 등 도심부

저속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 접근성 중심의 커뮤니티 환경과 자율주차시설 환경

자동차전용도로에서 고속이동이 가능한 고속도로 환경

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국도와 지방의 부도로 인한 환경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해서는 자동차 기술뿐만 아니라 C-ITS 기술도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 “차량과 도로 시설에서의 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교통 상황과 위험 정보를 제공하는 C-ITS 기술이 적용된 도로를 스마트 도로라고 부릅니다. C-ITS 기술은 첨단 신호 제어 시스템, 노변 기지국, 스마트 돌발 상황 감지기, 차선 제어기, CCTV 등의 장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기술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건 교통안내 전광판이네요 스마트 도로에서는 CCTV가 도로 상황을 수집하면 관제센터에서 고속도로 교통 안내 전광판으로 운전자에게 시차 없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합니다. 향후 차량 간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스마트 도로도 도입될 것입니다.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주행이 가능한 레벨 3(조건부 자율주행. 특수한 환경에서 자동차가 스스로 달리는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 스마트 도로는 필요한 도로 시스템입니다.

C-ITS의 개념에 있어서도, 한국은 IT강국에 걸맞게 지방 자치체를 대상으로 스마트 도로 실증 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대전~세종까지 약 88km에 걸친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현재 경제 중심인 서울과 행정 중심인 세종을 잇는 서울~세종 고속도로는 첨단 ICT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고속도로로 구축될 예정입니다. “제주, 광주, 울산 등 각 지자체도 C-ITS 기술을 실제 도로에 적용하여 실현여부를 확인하고, 지자체별 맞춤형 새로운 서비스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C-ITS 시범사업 현황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은 도로 밖 빌딩, 에너지, 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향후 스마트시티 건설로 이어질 것이다. 건설사들은 국내외 자율주행도로 인프라 건설시장에서 빨리 미래사업을 계획하려면 자율주행기술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과 통신사업 투자와 협력을 통해 원천기술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자료제공 및 도움말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 스마트도로연구단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