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구글 애드센스 리포트에 나오는 몇 가지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1월에 구글 애드센스의 승인을 받아 T-Story 블로그를 만들고 있는데 아주 조금씩 수입이 생겼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에 가서 내가 티스토리 블로그에 붙인 광고가 어떤지 알아보려고 하는데…페이스북 광고에는 조금 다른 느낌에 조금 당황스러웠어요.
그래서 몇 가지 용어를 공부하면 좋을 것 같아서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이야기 구글 애드센스 보고서의 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리포트용어 공부 1. 구글 애드센스 리포트 구글 애드센스 리포트에 들어가면 광고로 인한 수익에 관한 사항을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Google AdSense에 로그인하고 액세스하여 1. 보고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2. 계정 전체의 일별 보기를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그래프와 궁금한 정보가 나옵니다.

구글 애드센스 보고서
2) 예상수입 및 페이지뷰

예상수입 및 페이지뷰
- 예상 수입 선택된 기간에 대한 계정 잔액, 즉 수입이라는 것입니다.그러나 월말에 확정되는 최종 수입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 페이지뷰 내 사이트에 접속한 방문자가 구글 광고가 있는 페이지를 조회할 때마다 집계됩니다.
광고 수에 관계없이 페이지를 방문하면 페이지뷰 1회로 기록됩니다.
위의 보고서를 보면 나의 한 페이지가 12월 17일 하루 동안 총 39번 사람들에게 볼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방문자가 39명이라는 것은 의미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한 사람이 여러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페이지뷰가 방문자 수보다 많다는 것은 방문자 일부가 한 페이지만 보고 나온 것이 아니라 여러 페이지를 둘러봤다는 뜻으로, 이는 곧 사람들을 오래 머물게 할 수 있는 매력적인 블로그임을 의미합니다.
3. 페이지 RPM & 노출수

페이지 RPM&노출수
3) 페이지 RPM 내 페이지 1000회당 조회 시 예상되는 평균 수입을 의미합니다.
즉, (예상수입/페이지재생수)*1,000
내 페이지 조회수가 1,000회가 되지 않더라도 페이지 RPM에서 1,000회 조회되었을 때 대략적인 예상 수익을 알 수 있습니다.
4) 노출수 방문자가 보는 모든 광고의 수를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제 어떤 페이지에 광고가 3개 있다고 하면 노출 수는 3개, 페이지 뷰는 1개라는 이야기입니다.
위 사진에서 제 페이지 뷰 수는 635인데 노출 수는 2,311입니다.
이것은 제가 페이지당 약 3~4개의 광고를 설정해 놓았기 때문입니다.
4. 노출 RPM, 조회가능 ACTIVEVIEW, 클릭수

노출 RPM, 조회 가능 ACTIVE VIEW, 조회수
- 노출 RPM 광고가 1,000회 노출되었을 때 얻을 수 있는 예상 평균 수입입니다.
- 노출 수가 광고 수라는 걸 아시면 금방 이해하실 거예요.
- 즉, (예상수입/노출수)*1,000
2) 조회 가능 ActiveView 모든 측정 가능 광고 노출 수 중 광고가 실제 방문자에게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 비율
예를 들면 한 페이지에 광고가 3개 설정되어 있으면 방문자에게 3개 다 볼 수 있는 게 아니라 그 일부만 볼 수 있는데 그걸 %로 표시한 거예요.
저 같은 경우 50~60% 정도요.
3) 클릭 수 방문자가 광고를 클릭한 횟수입니다.
12월 18일 방문자가 내 광고를 한 번 클릭해
그날은 제 예상 수입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추가하다(CTR,CPC)

추가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연필 클릭
공부하다 보면 다들 CTR, CPC 얘기를 하는데 저는 그런 용어를 못 찾았어요.
저기 보이는 연필을 클릭하면 내가 원하는 정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나는 CTR과 CPC를 추가했습니다.

내가 원하는 추가 데이터를 선택하여 적용
- CTR: Click Through Rate 광고가 노출된 페이지에서 과연 몇 %가 광고를 클릭하는지에 대한 비율
- 즉, (클릭수/페이지뷰)*100 기본적으로 클릭수가 있어야 CTR을 말할 수 있습니다.
- 아래 사진을 보시면 클릭 수가 0이면 CTR도 0%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TR&CPC
적정 CTR은 1~2% 정도로 CTR이 높다는 것은 방문자의 광고 클릭 수가 높다는 뜻입니다.
이는 광고가 포스팅 키워드와 잘 어울리고 설정된 광고 위치도 잘 배치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CPC: CostPerClick 방문자가 광고를 한 번 클릭할 때마다 얻을 수 있는 광고 수익입니다.
즉, 광고 발생 수익/클릭 수
CPC가 높다는 것은 노출되는 광고 단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포스팅글 주제의 키워드가 고단가라는 이야기입니다.
CPC는 광고 수익에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광고를 많이 설정할수록 CPC 즉 광고 단가는 낮아지므로 광고 수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오늘은 구글 AdSense 보고서 용어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예상수익, 페이지뷰페이지RPM, 노출수노출RPM, ActiveView, 클릭수 그리고 CTR, CPC
한 번 봐서는 잘 이해가 안 될 수도 있지만, 보고서를 잘 보고 공부하면 익숙해질 거예요.
한번 공부해보니 그동안 몰랐던 것들이 말끔히 정리되는 것 같아 기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