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 폐경 후 고혈압 환자에게 한약의 유효성 및

서론혈압-나이가들수록혈압이증가하고여성은60세이후더높은혈압을보인다.-50세이전에는고혈압이남성보다여성에게미치는영향이적으나폐경후여성에서고혈압유병률이급격하게증가.폐경 후 고혈압 postmen opausal women – 폐경 후 여성의 혈압이 올라갈 것 – 노화와 폐경 후 내인성 에스트로겐 생산 중단으로 인한 수축기 혈압 systolic blood pressure, SBP와 맥압 pulse pressure의 증가 – 에스트로겐 저하, 내피 기능 저하, 염분 민감성, 규칙적인 운동의 저하, 갱년기 대사 증후-에스트로겐이 줄어 동맥경화, 혈관노화, 비만, 인슐린 민감성, 이상지질혈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르몬 대체요법 hormone replacement therapy가 혈압조절에 갖는 효과는 아직 일관적이지 못하며 유방암과 내분비암의 위험성이 있다.한약은 혈압과 그 변동성 blood pressure variability, BPV를 낮춘다.-카테콜아민, 뉴로펩타이드, 뉴로텐신의 수준을 저하시킨다.-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 억제-혈청 에스트radiol 수치상향 조절-FSH, LH 수치하향 조절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전 연구-한약이 갱년기 증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는 연구가 2016년 6월 JAMA에서 출간됐다.

JAMA 방법-갱년기 고혈압 여성을 대상으로 중재군에는 한약치료(단독 혹은 강압제와 병용)를, 대조군에는 강압제치료(단독 혹은 placebo약과 병용)를 실시한 RCT-혈압을 낮추는 것이 폐경기 고혈압치료의 핵심이기 때문에 1차 평가지표는 BP, SBP, dystolic blood pressureDBP,- 가장 많이 사용된 처방은 이선탕(Er-xian decoction) 이선탕: 선모 Curculigo orchioides Gaertn., 음양곽 Epime dium brevicornu Maxim., 파극 cinda

이선탕과 숙지황 주요 성분의 화학 구조 SBP

SBPDBP

DBPCPAD: 한약+강압제, AD: 강압제 funnel plot

  • mild publication bias 결론 – 한약과 강압제를 병용했을 때, 강압제만 사용했을 때에 비해 폐경기 고혈압 여성의 BP, BPV, 폐경 후 증상, 삶의 질, 호르몬 수치 향상에 이득이 있다.参考 文献 – Xiong 、 Xingjiang 、 et al . ” Efficacy and safety of Chinese herbal medicine for patients with postmenopausal hypertension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 analysis . ” Pharmacological research 141 ( 2019 ) : 481 – 500 .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