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안에서 와이파이를? 어떻게 할 수 있을까?

버스에서도 와이파이가 되는 시대입니다.실제로 한국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이 갖추어져 있습니다.자동차, 냉장고, 보일러, 에어컨, 공장설비 등 각종 물건도 통신기능을 내장해 인터넷에 접속돼 스마트폰으로 제어됩니다.

끝까지 접속이 자유롭지 못한 공간이 있어서 비행기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행기 안에서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기내 Wi-Fi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파가 기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2013년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기내에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습니다. 그 후 많은 항공사들이 기내 Wi-Fi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비행기 와이파이 서비스의 원리

약 10km 고도에서 비행하는 비행 기내에서는 어떻게 Wi-Fi를 사용할 수 있습니까?

기내 와이파이의 구조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지상 기지국과 인공위성을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지상 기지국을 활용하는 ATG(AirtoGround) 방식은 비행기 아래에 안테나를 설치해 지상에서 발사한 전파를 수신하고 와이파이 신호로 바꿔줍니다. 가까운 기지국을 연결하고 비행 중 다음 기지국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와이파이가 지속되도록 합니다. KTX나 버스의 와이파이와 같은 방식이군요. 통신 속도는 3Mbps 수준으로 느린 편입니다.

기지국이 없는 바다에서는 인공위성을 활용합니다. 지상 전파를 인공위성이 수신해 다시 비행기로 중계해주는 방식입니다. 위성 통신은 초고주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Ku 대역과 Ka 대역 두 가지로 나뉘는데, Ku 대역은 12~18GHz, Ka 대역은 20~30GHz 주파수를 이용해 전파를 주고 받습니다. 안테나는 비행기보다 위에서 전파를 받는 만큼 지상 기지국을 이용할 때와 달리 비행기 상단에 설치됩니다.

위성통신 방식의 와이파이는 ATG 방식보다 빠릅니다. 여러 지상 기지국을 거치는 ATG와 달리 한 번 연결되면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Ku 대역은 지상 기지국을 이용했을 때보다 약 10배 빠른 30~40Mbps 속도, Ka 대역은 최대 70Mbps 속도를 지원합니다. 단점은 중간에 인공위성을 거치기 때문에 지연이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지상 기지국을 이용하는 ATG는 주로 국내선에서 위성통신은 바다를 건너는 국제선에서 활용됩니다. 항공사마다 기술 활용 방법은 조금씩 다르고, 이 방식을 모두 섞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미국 항공사에서는 이미 기내에서 Wi-Fi를 다수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내 항공사는?

국내에서는 아시아나항공이 2017년 A350 기종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적용했습니다. 위성 통신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은 비쌉니다. 와이파이 이용 가격은 1시간 이용 시 11.95달러(약 1만4천원), 3시간 이용 시 16.95달러(약 2만원), 무제한 이용 시 21.95달러(약 2만6천원)라고 합니다. 속도는 40~80Mbps 정도로 영상 스트리밍이 가능한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Wi-Fi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A350은 LA,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런던, 파리, 상하이, 싱가포르, 하노이 등의 노선에 운항 중이라고 합니다.

대한항공도 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CS300 국내선에 와이파이가 적용되고 있지만 기내 엔터테인먼트 전용 서비스에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2019년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3년 안에 대한항공 기내에 와이파이 도입을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는 것입니다.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통신 기술 관련 특허는?항공기 운항 중 카드 결제를 처리하는 기내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특허 제10-1857067호

이 발명은 기내 결제 장치가 항공기 운항 중 카드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입니다. 이 특허는 항공기가 이륙하기 전에 상기 항공기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카드 정보 및 카드 블랙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이륙 후 카드 결제 요청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설명하고 사용자의 전체 카드 정보 및 카드 블랙리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카드 결제 요청 신호를 처리하여 기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무선인터넷용 와이파이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시스템 특허 제10-1208851호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의 증가로 무선랜으로서의 WiFi 설치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WiFi AP 설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WiFi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리함, 구축비용 절감 등에 대한 효율성이 필요한 상황에서 이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와이파이의 경우 공용 주파수 사용으로 출력이 제한되어 있고 스마트폰 가입자가 증가하여 더 많은 와이파이를 설치함에 따라 유지, 보수, 관리 및 설치 측면에 어려움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AP의 설치, 유지, 보수 및 관리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특허라고 합니다.

집 안에서도 사무실에서도, 지하철에서도 비행기 안에서도 더 이상 와이파이 없이는 살 수 없는 환경이 되었습니다.와이파이 기술은 이동 중에도 많은 것을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고마운 기술이지만 휴대폰의 과도한 몰입은 조심해야 합니다.

※ 자료참조_ http://www.bloter.net/newsView/blt201908020007 키플리스

위 내용은 지식재산정책기자단의 개인 견해이며 특허청의 공식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글 주제와 관련이 없거나 광고, 욕설, 비방, 비속어 관련 댓글은 삭제 및 차단될 수 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