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dd, commit, push, pu ll[Github] Git의 기초 사용법

프로그래머라면 다룰 줄 알아야 하는 Git에 대해 알아보자 Git란 무엇일까.

[ git ] [ github ]

  1. Git이란 빠르고 효율적으로 다른 개발자와 협업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해야 할 때 사용하기에 좋은 무료 오픈소스 소규모 프로젝트부터 대규모 프로젝트까지 모든 것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된 무료 오픈소스 분산 버전 제어 시스템이다.”빠르고 효율적으로” 사실 이 표현으로 Git에 대한 장점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파일을 수정할 때마다 해당 데이터를 기록하여 필요할 때 이전 버전으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분산시켜 여러 개발자가 협업하여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 툴이다.
  2. Git 영역은 다음 세 가지로 구분되며, 이 문장 아래의 명령어 내용을 보면 gitadd, gitcommit 등의 단어를 모두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개인 코드를 작성하고 수정된 코드를 올려 최종 수정본을 제출하는 이 흐름을 파악하기만 하면 된다.Git 영역 – Working Directory (Local) : 개인 코드 작성하는 영역 – Staging 영역 : gitadd를 통해 수정된 코드 올리는 영역 – Repository : gitcommit을 통해 최종 수정본 제출 영역

2. Github이란 Git을 통해 만든 프로젝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원격 저장소 Git을 통해 협업하기 위해서는 원격 저장소가 필요한데, 이는 원격 저장소가 잘 아는 Github, Gitlab과 같은 서비스이다.이러한 저장소가 있어서 속도도 빠르고 환경에 부담없이 Commit도 가능하며, 원격 저장소에 문제가 생겨도 로컬 저장소를 통해 복구도 가능하다.이제 본격적으로 Git의 기초부터 천천히 배울 수 있도록 Git에 대한 기본적인 명령어를 알아야 코드를 만들 수 있겠죠? 앞으로 Git을 사용할 때 꼭 알아야 할 명령어들을 배우겠습니다.

Git 기초 사용법

Git 명령어를 사용하기 전에 자신의 프로젝트 폴더 위치로 이동하여야 한다. 그래야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으니까! 장소로 이동하는 명령어는 cd [경로]이다. cd 뜻 : change directory

0. git init (git 시작) git init 명령어는 새로운 git 저장소(repository)를 생성할 때 사용한다. 간단하게 저장소를 초기화할 때 사용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1. git status git status 명령어는 현재 파일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이 명령어는 특정 단계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시로 파일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위 코드에서 노란색 부분이 gitstatus 명령을 사용한 부분이고 Enter를 누르면 아래에 현재 상태가 나타난다.> 빨간색(Untracked)으로 나오는 것은 그 파일을 Commit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add를 입력한 후 status를 다시 입력하면 녹색으로 바뀌는데 그 녹색 상태가 바로 commit가 될 수 있다는 표시이다.> 다시 빨간색 상태(Untracked)로 되돌리고 싶으면 gitrm [파일명]을 누르면 된다.

2. gitadd gitadd 명령어는 프로젝트를 수정하거나 변경한 내용을 새로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에 추가할 때 사용한다.*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 : 변경사항이 저장소에 commit되기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중간 단계

3.git commit git commit 코만드는 변경사항을 확정하는 단계이다.

*git commit-a 명령어를 사용하면 commit과 add를 동시에 할 수도 있다.commit 하면 빨강, 초록색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모두 보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4. git log git log 명령어는 commit 된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

commit한 내용과 Auther, Date 정보도 함께 보여준다. Commit한 것은 갚을 수도, 맞출 수도 있다.

git log 명령어를 사용하는 순간, 다른 명령어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데, 이때 q를 눌러서 빠져나갈 수 있다.

4. git diff git diff 명령어는 아주 간단하다. 파일의 어떤 내용이 변경되었는지 알려준다. 이 명령어도 git status와 마찬가지로 확인하고 싶을 때 수시로 사용하면 된다.

지금까지는 완전히 개인 로컬로 작업할 때 Git 저장소를 초기화해서 사용하는 방법이었고, 앞으로는 서로 협업할 때나 개인 프로젝트라도 안전하게 소스코드를 관리하기 위해 원격 저장소(Github 등)에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려 한다.

4. git pushgit push 명령어는 commit 한 이력을 Github의 repository에 저장해 준다. 현재 폴더를 그대로 업로드 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의 commit를 push 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무엇이 업 로드되는지를 알 수 있는 git status, git log 명령을 통해서 확인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

5. git pull git pull 명령어는 원격 저장소(Github)의 이력(push한 내용)을 받아오는 것이다. 공동 작업을 할 때 타인이 commit을 하여 이력이 변경되었을 경우, 변경된 내용을 가져와야 할 때 사용된다.

뒤의 ./buy_something.cpp은 파일명이다. 즉, git pull./[파일명] 명령어를 사용하여 commit 이력을 불러오면 된다.

오늘 한 내용을 이해한 모두가 git의 세계로 들어온 것이다! 이들 명령어 이외에도 git에는 정말 많은 명령어가 있다. 처음에는 누구나 어렵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많이 써보는 것만큼 실력이 향상되는 방법은 없는 것 같다. 모든 초보 프로그래머들을 응원한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